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계기상기구] [WMO]

by CHOIST 2024. 3. 25.
반응형

 

WMO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세계기상기구

 

설립 협력기구 총재 가입국
1950년 UN 압둘라 알만두스 193개국

 

 

 

[위치]

 

세계기상기구의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습니다.

 

WMO 본부

 

 

[WMO가 하는 일]

 

 

 

<기상 관측 표준화 및 자료 교환>

WMO는 전 세계 기상 관측망을 구축하고, 관측 방법과 기록 표준을 정립하며,

국가 간 기상 정보의 자유로운 교환을 촉진합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 발생하는 기상 현상도 정확하게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상 예보 및 경보 서비스 제공>

WMO는 회원국들에게 정확한 기상 예보와 경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태풍, 허리케인, 홍수와 같은 심한 기상 현상을 예측하고 경보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후 변화 연구 및 대응>

WMO는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연구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주도합니다.

또한, 개발도상국들의 기후 변화 적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활동도 펼칩니다.

 

<수문자원 관리 지원>

WMO는 국가들의 수문자원 관리 능력을 강화하고, 가뭄과

홍수와 같은 수문재해를 예방 및 대비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합니다.

 

<교육 및 훈련>

WMO는 기상, 기후, 수문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또한, 개발도상국들의 기상 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활동도 펼칩니다.

 

 

 

 

 

[WMO와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56년 68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래 세계기상기구(WMO)와 긴밀히 협력해 왔습니다.

 

 

 

 

<대한민국의 주요활동>

 

기상 정보 공유

대한민국은 전 세계 기상 관측망의 일부로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WMO와 공유합니다.

 

기상 예보 및 경보

WMO의 지침에 따라 기상 예보 및 경보를 발행하고 국제적으로 공유합니다.

 

기후 변화 대응

기후 변화 연구에 참여하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합니다.

 

기술 지원

개발도상국의 기상 역량 강화를 위해 기술 지원과 교육을 제공합니다.

 

 

 

 

<최근 주요 활동>

 

 

2007년

제15차 WMO 총회에서 한국기상청장이 WMO 집행이사로 선출되어

WMO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19년

환경부 소속 김휘린 한강홍수통제소 연구사가 WMO 수문예보ㆍ수자원과장으로

선출되어 최초의 아시아인 여성 전문가로서 국제 기상 업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3년

대한민국은 WMO의 세계기상정보시스템(WIS)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 세계 기상 정보 공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에 위치한

세계기상정보센터 서울(GISC 서울)은 아시아 지역의 중요한

기상 정보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WMO 관련 링크]

 

WMO 공식 홈페이지 https://wmo.int/

다자간 기상협력 > 국제협력업 https://www.kma.go.kr/kma/biz/cooper02.jsp

세계기상정보서비스(WWIS) - 대한민국 https://worldweather.wmo.int/kr/country.html?countryCode=K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