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식량농업기구] [FAO]

FAO :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유엔식량농업기구
설립 | 협력기구 | 사무총장 | 가입국(회원국) |
1945년 | UN | 취동위 | 194개국 |
[위치]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본부는 이탈리아 로마에 있습니다.

또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는 서울 종로구 종로 38 서울글로벌센터에 있습니다.

[FAO가 하는 일]
<식량 생산 및 분배 효율성 개선>
농업 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농업 시스템 구축, 천연자원 보호 등을 지원합니다.
<영양 수준 개선>
영양 교육, 미성장 및 영양실조
방지 프로그램 운영, 식품 안전 강화 등을 추진합니다.
<농촌 빈곤 해소>
농촌 개발, 소규모 농업 지원, 농촌 여성 역량 강화 등을
통해 농촌 지역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킵니다.
<기후 변화 대응>
기후 변화에 취약한 농업 시스템 구축, 재난 복구 지원,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 촉진 등을 통해 기후 변화의 영향을 완화합니다.
<국가 정책 개발 및 실행 지원>
국가별 상황에 맞는 농업 및 식량 정책 개발 및 실행을 지원합니다.
<지식 및 정보 제공>
농업, 식량, 영양 관련 데이터 및 통계를 제공하고,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개발 사업 지원>
개발도상국에서 농업 및 식량 관련
사업을 직접 수행하거나 자금 지원을 제공합니다.
<국제 협력 촉진>
국가, 기관, 시민 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을 촉진합니다.
[대한민국과 FAO]
<역사>
대한민국은 1948년 12월 10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가입했습니다.
1965년 대한민국은 FAO 이사국으로 최초 진출했습니다.
1989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대한민국은 FAO 이사국으로 11회 연속 피선되었습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재정위원회에도 진출했습니다.
2019년 3월 13일, FAO와 대한민국 간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FAO PLO in ROK)가 설립되었습니다.
<주요협력분야>
식량 안보 강화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 시스템 개발, 식량 손실 및 낭비 감소, 농촌 개발 지원
농촌 개발
농촌 소득 증대, 농촌 기반 시설 개선, 농촌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농림 식품 분야 정책 개발 및 지원
농림 식품 정책 연구, 정책 자문, 국제 협력 지원
기후 변화 대응
농업 분야 기후 변화 적응 및 완화 전략 개발, 지속 가능한 토지 및 수자관리 지원
동식물 질병 방제
동식물 질병 발생 감시 및 예방, 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 지원
[대한민국의 세계중요농업유산]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 지정하는 전통 농업 시스템입니다.

<제주 밭담 농업>
제주 지역에서 돌을 이용하여 밭의 가장자리를 쌓은 담을 의미합니다.

<하동 전통차 농업>
하동 전통차 농업은 1,2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한국의 전통 농업입니다.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일대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이 농업은 야생 차나무를 이용하여 차를 재배하고,
무쇠 가마솥 덖음 방식으로 차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금산 전통인삼 농업>
금산 전통인삼 농업은 1500년 이상 이어져 온 독특한 농업 시스템입니다.
산지에서 자연스럽게 자란 인삼을 모방하여 삼림 지대에 나무로 만든 지붕 아래 인삼을 재배하는 방식입니다.

<담양 대나무밭 농업시스템>
담양 대나무밭 농업시스템은 500년 이상 축적된 전통 농업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조성된 독특한 농업 시스템입니다.

[FAO 관련 링크]
FAO 홈페이지 : https://www.fao.org/home/en
한국어 홈페이지 : https://www.fao.org/countryprofiles/index/en/?iso3=KOR%20
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 : https://www.fao.org/countryprofiles/index/en/?iso3=KOR%20